13호와 14호 태풍 동시 발생 및 이동경로 예상
13호 태풍 꼰선과 14호 태풍 찬투가 동시 발생하여 중국 남부해상에서 함께 활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나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2개의 태풍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예측 모델이 모두 크게 바뀌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우리나라에는 두 태풍 모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13호 태풍 이동경로 예상
13호 태풍 꼰선은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하여 필리핀 섬들을 관통한 이후 베트남 북부로 진행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중급까지 발생한 상태에서 베트남에 상륙할 가능성이 가장 큰 상황입니다.
9월 7일 오전 9시 현재 태풍 13호 꼰선으로 명명되었고, 필리핀을 지나고 있는 중입니다.


경로 예측 모델에 의하면 여러가지 경우를 보여주지만, 평균값으로는 베트남 북부로 진행해서 상륙하는 것이 가장 많은 관측이고, 조금 빠르게 북상하면서 중국 남부 상륙도 예측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14호 태풍 이동경로 예상
먼저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생각했던 열대저압부는 뒤늦게 태풍 14호 찬투로 발달하게 됩니다. 아직은 열대저압부이지만, 24시간 이내 태풍으로 발달하고, 13호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발달하게 됩니다. 13호는 내륙을 일부 통과하지만, 14호는 뜨거운 바다 위에서만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JTWC 예측으로는 중급 태풍이 되어서 대만 남부 해상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후 대만에서 방향을 바꿔서 일본을 향해 움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 2가지 경로 예측 모델에서 주로 왼편의 경로가 조금 더 많이 잘 맞는 데이터입니다. 이를 보고 판단할 때 대만에서 방향을 북동진으로 바꿀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로 중 우리나라로 오는 예상모델을 거의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태풍13호, 태풍14호 일본기상청 예상 경로
이례적으로 2개의 태풍이 동시에 활동을 하게 되어서 지도에 2개의 태풍이 모두 표시가 됩니다. 아래는 일본 기상청의 예상 모델인데 13호보다 14호 태풍이 더 큰 강도가 될 것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경로는 JTWC와 거의 비슷하며 13호는 베트남 북부에, 14호는 대만에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둘 다 중급 태풍까지 발달은 거의 확정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태풍13호, 태풍14호 대만기상청 예상 경로
두 개의 태풍 중에 하나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대만 기상청의 예보입니다. 대만 기상청에서의 희망(?)이 들어가 있는지 오른쪽에 있는 14호 태풍 찬투의 경로는 다른 곳과는 다르게 대만 동쪽 해상에서 북서진이 아닌 북진으로 방향을 바꿔 가면서 대만 북부로 올라오는 경로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태풍 14호가 아니어서 열대저압부로 표기하고 있지만, 곧 태풍으로 승격되어 태풍으로 발효할 것입니다.
태풍13호, 태풍14호 한국기상청 예상 경로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13호 태풍 꼰선은 이미 태풍으로 발표를 했으며, 필리핀을 거쳐 베트남, 중국 남쪽으로 가는 경로를 예상하여 통보문을 발효했습니다.

또한 14호 태풍이 될 31호 열대저압부에 대한 통보문도 발표를 했습니다. 24시간 이내 태풍으로 발달할 것이며 13호 보다 강하게 세력을 키워서 대만을 향해 나아갈 경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2호 태풍 오마이스 소멸후 태풍 소식이 잠잠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2개의 태풍이 동시에 활동하는 것으로 그 잠잠했던 기간 에너지를 모은 자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태풍의 에너지는 일본에 떨어진 원자폭탄보다도 훨씬 많은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피해를 주는 면적이 넓어서 그 위력을 실감하기 어려울 뿐이지만, 그 동안 슈퍼태풍급으로 발달할지도 모른다는 예측이 모두 틀린 점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보기]
태풍 13호 꼰선, 태풍 14호 찬투 연속 발생 가능성
북서태평양의 태풍을 감시하는 기관인 JTWC에서 태풍으로 발달 가능성이 있는 열대요란 2개를 감시하는 중입니다. 가깝게 발달한 열대요란은 서로의 발달에 영향을 주면서 생각보다 빠르게 94W가
typhoon.infomoah.com
태풍 13호 꼰선 발생 및 이동경로 예상
태풍 13호, 14호가 동시에 발달할 것이라는 예측모델이 9월 6일 오전에 나온 것이었는데, 반나절만에 모든 예측 모델이 다른 결과로 바뀌었습니다. 태풍 13호는 나중에 발생한 95W 열대저압부가 열
typhoon.infomoah.com
[태풍 관련 기본 지식]
태풍 풍속 기준에 따른 강도분류 - 태풍 기본지식
태풍이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너지가 지구 면적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를 달구면서 대류작용이 발생하면서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 열에너지 불균형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자연(지구)이 해
typhoon.infomoah.com
'2021년 태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찬투 최신 이동경로 정보 정리 (9월 16일) (0) | 2021.09.16 |
---|---|
급격히 약해지는 태풍 14호 찬투, 제주 남부로 통과 (0) | 2021.09.15 |
태풍정보 14호 찬투 혼돈의 이동경로예상, 결국 우리나라로 (0) | 2021.09.12 |
14호 태풍 진로예상 최신 정보 (9월 11일) (0) | 2021.09.11 |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경로예상 업데이트 (0) | 2021.09.10 |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이동경로 예상 (0) | 2021.09.09 |
열대저압부 96W 발생, 14호 태풍 찬투와 상호작용? (0) | 2021.09.08 |
태풍 13호 꼰선 발생 및 이동경로 예상 (0) | 2021.09.06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경로예상 업데이트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경로예상 업데이트
2021.09.10태풍 14호 찬투와 13호 꼰선의 최신 경로를 업데이트 합니다. 예측 모델에서 만들어주는 그래픽 이미지를 먼저 가져서와 서 긴 설명을 대신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추가로 첨부했습니다. 13호 태풍 꼰선, 14호 태풍 찬투 이동경로 태풍 경로가 올라오는 tropicaltidbits 에서 예측 모델로 만들어주는 GIF 영상입니다. 13호는 중간 부분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살짝 보이다가 베트남 내륙에 상륙하자마자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14호 태풍 찬투는 대만 부근을 스쳐 올라오면서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력을 잃다가 뒤 따라 오는 저기압 때문에 중국 남동부 해상에서 잠시 이동을 하지 않고 움직임이 정체 됩니다. 이후 다시 거의 정동향으로 움직여서 우리나라로 올라오지 않고 일본도 남쪽 해상을 따라 빠져… -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이동경로 예상
태풍 14호 찬투 13호 꼰선 최신 이동경로 예상
2021.09.09매우 강한 태풍이 되어 버린 14호 태풍 찬투와 서쪽으로 점점 멀어지고 있는 13호 태풍 꼰선의 현재위치와 앞으로의 이동경로에 대한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태풍 13호 꼰선 기상청 통보문에 의하면 13호 태풍 꼰선은 현재 필리핀을 막 빠져나가서 이제 남중국해에 접어 들었습니다. 당분간은 해상 위에서만 움직이기 때문에 그 동안 발달을 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다시 태풍의 힘을 키우게 됩니다. 하지만 멀지 않은 곳에 있는 14호 태풍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꼰선의 발달은 중급 정도에 머무르게 될 것이고 크기도 소형인 상태로 베트남 북부를 향해 나가는 모습입니다. 최대 풍속은 초속 27m (시속 97km) 정도까지만 커지고 베트남에 상륙하면서 크게 약해지고 바로 소멸될 것입니다. 태풍 14호 찬투 태풍 … -
열대저압부 96W 발생, 14호 태풍 찬투와 상호작용?
열대저압부 96W 발생, 14호 태풍 찬투와 상호작용?
2021.09.0813호 태풍은 멀리 베트남과 중국남부로 향하고 있고, 14호 태풍은 대만을 향해 강력한 세력을 키우며 나아가고 있는 시기에 찬투가 이미 지나갔던 해상에 새로운 열대저압부 96W가 관측되었습니다. 이미 찬투가 대류 에너지의 불균형을 맞춰주며 지나갔으나 발생위치로 볼 때 태풍이 된다면 우리나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열대저압부 96W 발생 태풍 14호 찬투가 지나갔던 자리에 새로운 열대저압부가 하나 자리를 잡기 시작합니다. 이 저기압은 이제 발생초기이기 때문에 태풍 13호, 14호와 마찬가지로 향후 예상 이동경로는 매우 유동적입니다. 지금 태풍이 된 것들도 갈팡질팡 한 이후 거의 1주일 지난 후 현재의 예보가 되기 때문입니다. 우선 태풍 관련 예측 모델 2개의 경로 예상을 살펴보겠습니다. GEFS모델에서… -
태풍 13호 꼰선 발생 및 이동경로 예상
태풍 13호 꼰선 발생 및 이동경로 예상
2021.09.06태풍 13호, 14호가 동시에 발달할 것이라는 예측모델이 9월 6일 오전에 나온 것이었는데, 반나절만에 모든 예측 모델이 다른 결과로 바뀌었습니다. 태풍 13호는 나중에 발생한 95W 열대저압부가 열다요란 18W가 되었고 이제 곧 태풍 13호 꼰선으로 발달한다는 예측입니다. 태풍 13호 후보의 현재 위치 현재 태풍 13호가 될 것으로 될 열대요란은 필리핀의 동쪽에 바로 붙어 있는 모습이고, 몇 시간 내에 태풍으로 격상되어 필리핀을 관통하며 지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해군합동태풍경보센터 사이트에 올라온 현재 두 열대저기압과 열대요란의 위치는 우리나라와 일본 정남지역에 있습니다. 18W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태풍은 통상 중국 남부 해상으로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13호 태풍으로 발달해도 우리나라로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